Ebooks, Audobooks and Classical Music from Liber Liber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Web - Amazon

We provide Linux to the World


We support WINRAR [What is this] - [Download .exe file(s) for Windows]

CLASSICISTRANIERI HOME PAGE - YOUTUBE CHANNEL
SITEMAP
Audiobooks by Valerio Di Stefano: Single Download - Complete Download [TAR] [WIM] [ZIP] [RAR] - Alphabetical Download  [TAR] [WIM] [ZIP] [RAR] - Download Instructions

Make a donation: IBAN: IT36M0708677020000000008016 - BIC/SWIFT:  ICRAITRRU60 - VALERIO DI STEFANO or
Privacy Policy Cookie Policy Terms and Conditions
에스페란토 - 위키백과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사람에 대한 내용은 에스페란토 (동음이의) 문서에 있다.
에스페란토
Esperanto
언어 인구 외국어로서 100~200만명,
모국어로서 200~2000명으로 추정됨
언어의 계통 인공어 (인도유럽어족에 가까움.)
공용어/표준
표준 에스페란토 학회(Akademio de Esperanto)
언어 부호
ISO 639-1 eo
ISO 639-2: epi
ISO/DIS 639-3: epo
Esperanto flag
에스페란토
언어
에스페란토 | 문법 | 문자 | 어원
역사
역사 | 자멘호프 | 프로토 에스페란토 | 제1서 | 푼다멘토 | 블로뉴 선언 | 프라하 선언
문화
문화 | 에스페란티스토 | 에스페란투요 | ITV | 라 에스페로 | 자멘호프의 날
활동
UEA | 아미케짜 레타 | 파스포르타 세르보 | TEJO | 세계 대회 | 청년 대회
교육
위키백과 | 레르누 넷 | 쿠르소 데 에스페란토
비판과 개선안
비판 | 리이스모 | 에스페란티도 | 이도 | 에스페란토 센 차펠로이 | 에스페란토 센 플렉시오
관련 문서
국제어 | 인공어 |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톰 | 로즈아일랜드 공화국
에스페란토의 녹색 기
실제 크기로
에스페란토의 녹색 기
자멘호프 박사
실제 크기로
자멘호프 박사

에스페란토(Esperanto)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인공어이다. "에스페란토"라는 이름은 1887년 발표한 국제어 문법 제1서에 쓰였던 자멘호프의 필명인 "에스페란토(희망하는) 박사"에서 유래되었다. 국제적 의사소통을 위해 배우기 쉽고, 중립적인 언어를 목표로 하고 만들어 졌다.

현재 에스페란토는 여행, 의사교환, 문화 교환, 편지, 언어교육 등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세계의 100,000~2,000,000명의 사람들이 에스페란토로 대화할 수 있다. 그중에서 약 2,000명은 에스페란토를 말할 줄 아는 부모 사이에서 에스페란토를 모국어로서 습득하였다.

목차

[편집] 특징

에스페란토는 말이 서로 다른 민족간의 의사 소통과 상호 이해, 나아가서 인류 평화를 위해 만들어진 중립적이고 배우기 쉬우면서 모든 표현이 가능한 언어로서 국제적으로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게끔 고안되었다.

그러나 '배우기 쉬운가'라는 문제점에 대하여서는 이견이 많다. 지금까지 몇몇의 개선안(이도, 에스페란토 센 플리코)들이 제안되었으나, 세계에스페란토협회(UEA)에서 거부당하였으며, 자멘호프가 만든 문법을 수정없이 고수하고 있다.

에스페란토를 쓰는 사람을 에스페란티스토(esperantisto)라고 한다. 에스페란티스토는 국제어들 중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대한민국에도 에스페란토 협회가 존재한다. 전 세계 에스페란티스토는 라 에스페로언어가로 사용하고 있으며, 언어기도 라 에스페로라고 부른다.

[편집] 역사

자멘호프는 자신이 살고 있었던 지역의 언어문제가 곧 주민들 사이에 불화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만 있으면 적어도 그러한 분쟁은 종식될 수 있으리라고 믿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에스페란토를 창안하게 되었다.

[편집] 언어 개발

처음, 자멘호프는 라틴어의 복구가 언어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생각헀으나, 실제 라틴어를 배움에 어려움을 느꼈다. 영어를 배움으로써 그 문법이 간단한 것을 깨닫고, 동사의 인칭변화가 필요없다는것을 깨달았다.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많은 단어를 알아야하지만, 길을 걸으며 우연히 본 2개의 러시아어로된 2개의 간판에서 해결책을 생각해 냈다. швейцарская(경비실), кондитерская(과자가게) 2개의 간판에는 공통적으로 рская(장소라는 뜻)라는 접미사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는 각각 외워야하는 단어를, 접미사를 씀으로써 하나의 어근만 외움으로써, 다른 단어를 파생해 낼 수 있도록 구상했다. 어휘는 다양한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단어를 채용하기로 했다.

1878년, 현재 에스페란토의 시험판인 Lingwe uniwersala(링그베 우니베르살라 또는 프라 에스페란토)를 만들어서 고등학교 동급생에게 가르쳤다. 그후 6년간, 우선 각민족어로 된 문학작품과 시를 번역하며, 언어를 발전시켜 갔다. 1895년 러시아 에스페란티스토 보로후코에게 보낸 편지에서 '설령 1878년에 완전히 완성되었다 하더라도, 나는 6년을 언어 완성을 위해 낭비했다.'라고 적었다. 그가 완전히 언어 발표를 준비하였지만, 폴란드를 식민지배하던 러시아 정부의 검열로 인해 발표를 할 수 없었다. 그는 그 기간동안 성사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고, 언어를 개량하였다. 1887년 제1서(Unua Libro)로 에스페란토 기초를 최초로 발표하였다. 그럼으로써 현재 사용되는 에스페란토가 생겼다.

[편집] 최초의 세계 대회

최초에는 에스페란토 교류수단이 잡지「La Esperantisto」(라 에스페란티스토, 1889 ~ 1895년까지 발행됨)밖에 없었다. 1905년까지 19번 에스페란토 잡지가 발행되었다. 최초의 활동은 러시아와 동유럽에 한해서 이루어졌다. 후에 서유럽과 미국, 아시아 등으로 넓혀갔다.

1904년 소규모 국제대회를 준비하여, 1905년 8월, 프랑스 블로뉴에서 최초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를 개최했다. 그때 33개국의 688명이 참가하였다. 그 대회에서 자멘호프는 에스페란토운동의 지도자로써 지위를 공식적으로 포기하였다. 자멘호프 자신이 유대인이므로, 반유대주의의 편견이 언어 발전을 방해하는게 두려웠기 때문이다. 그는 에스페란토운동의 기본이 된 블로뉴 선언을 제안하였으며, 대회참여자들이 이것을 채택하였다.

[편집] 언어의 발전

1905년 프랑스 블로뉴에서 개최된 제1차 에스페란토 세계 대회에서, 에스페란토 기초의 변경을 제한하는 선언을 채택했다. 선언은 언어의 기초를 자멘호프가 출판한 '에스페란토 기초(Fundamento de Esperanto)'에서 변경해서는 안되며, 어떤 사람에게도 기초를 변경할 권리는 없다고 하였다. 이 선언은 언어의 사용자가 새로운 생각을 발표하여도 좋다고는 하지만, 언어 자체는 본래의 형태를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현대에스페란토가 '에스페란토 기초'와 완전히 동일하다고는 볼 수 없다. 예를들어 국명을 표시하는 접미사가 -uj-에서 -i-로 바뀌었다. (예를들어 koreujo→koreio) 또한 엄밀히 말해 -a로 끝나는 모든 단어는 형용하여한 하지만, 유럽에서 사용하는 이름 Maria처럼 에스페란토 기초에 의하면 엄밀히 말해 Mario가 되어야하지만, 현재 에스페란토에서는 Maria도 인정하고 있다.

또한, 새롭게 여러가지 외래어가 추가되었다. 이것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예전의 에스페란토 단어에 맞게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 예를들어 컴퓨터(Computer)는 도구를 나타내는 접미사 -il-을 사용하여, komputilo로 번역하였다. 또한 유로의 경우 유럽의 모든나라에서 euro로 표기하고 있음에도, 에스페란토에서는 에스페란토 철자법에 맞게, eŭro로 변화되었다.

[편집] 최초의 세계 대회 이후

1905년이후,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는 2차대전 기간을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고있다.

1920년대 국제연맹에서 에스페란토를 사용어에 추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프랑스 대표자의 반대로 인해 실현되지는 못했다. 그당시 프랑스어는 영어에 의해 국제어의 지위를 위협받고 있었고, 에스페란토를 새로운 위협으로 보았다.

그 이후 아돌프 히틀러이오시프 스탈린은 에스페란토의 반민족주의에 위협을 느끼고, 에스페란티스토들을 제거하였다. 히틀러는 《나의 투쟁(Mein Kampf)》에서 '에스페란토는 유태인을 집결시키는 국제어이다'라고하여, '에스페란토는 스파이의 언어이다'라고 말하였다.

[편집] 연표

  • 1859년 : 에스페란토 창안자 자멘호프가 폴란드에서 태어났다.
  • 1887년 : 최초의 문법서가 출판 되었다.
  • 1905년 : 제1차 에스페란토 국제대회가 프랑스 블로뉴에서 개최되어, '에스페란토 기초'가 발간되었다
  • 1908년 : 당시 19세의 에스페란티스토 'Hector Hodler'가 중심이되어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UEA)를 설립했다.
  • 1966년 : 파스포르타 세르보(Pasporta Servo, 에스페란토 국제 홈스테이 시스템)가 시작되었다.
  • 2001년 : 에스페란토 위키백과가 만들어졌다. 이는 현재 에스페란토 사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중 하나이다.

[편집] 언어학적 특성

[편집] 분류

에스페란토는 인공어이므로, 어떤 자연어와 친족관계가 없다. 어느 나라 말도 아니기 때문에 언어로 인해 민족감정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특정 민족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사용자라도 혜택을 받는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문법, 어휘 모두 유럽의 제어 특히 로망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비유럽인들에게는 언어의 습득이 어렵다고 하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완전히 중립적인 언어는 자연어와 거리가 있고, 제작자를 제외하고 '누구에게나 어려운' 불평등의 전형적 언어가 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불평등성은 받아들일 수 있다는 현실적인 의견도 많다.) 발음체계는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어휘는 주로 로망스어(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약 75%), 게르만어(독일어, 영어 등; 약 20%)로 부터 채용되었다. 자멘호프가 정의하지 않은 문법상의 언어 사용은, 초기의 사용자의 모국어, 즉, 러시아어, 폴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았다.

라틴어, 그리스어 처럼, 비교적 어순의 자유가 있으나, 관습적으로 영어와 동일한 SVO형 구조가 대부분이며, 형용사가 명사 앞에 오는 경우가 많다. 전치사를 사용하며, 교착어적 성질도 가지고있다.

[편집] 문법

이 부분의 본문은 에스페란토 문법입니다.

에스페란토는 성이 없고, 규칙적으로 동사가 변화하는 교착어이다. 명사와 형용사는 주격과 대격, 즉 2개의 을 가진다. 수는 단수(singularo)와 복수(pluralo)가 있고, 형용사의 복수형이 존재한다. 동사의 인칭변화는 없고, 대격어미(-n)는 이동을 나타내거나, 전치사를 대신하기도 한다. 대격이 있으므로 러시아어, 그리스어, 라틴어, 일본어, 한국어와 같이 비교적 어순이 자유로운 편에 속한다.


[편집] 어원

에스페란토어의 대부분의 어휘는 유럽언어에서 왔지만, 최근에 생긴 어휘는 비유럽어권에서 온 경우도 있다. 가장 주요한 어원은 라틴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그리고 영어다. 다국어주의에 의해 대부분의 어휘은 서로 유사한 다양한 언어의 공통적인 부분에서 가져왔다.

  • 독일어 계통:
    • 독일어: baldaŭ, bedaŭri, haŭto, jaro, nur
    • 영어: birdo, mitingo, spite, suno, teamo
    • 독일어 계통: bildo, fiŝo, fremda, grundo, halti, hasti, hundo, ofta, somero, ŝipo, vintro


[편집] 다른 언어와의 단어 비교

에스페란토 이도 영어 이태리어 불어 독일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한국어
bona bona good("bonus") buono bon gut bueno 좋은
doni donar give ("donor") dare ("donare") donner geben dar 주다
filtri filtrar filter filtrare filtrer filtrieren filtr filtrar 거르다
ĝardeno gardeno garden giardino jardin Garten jardin
ĉevalo kavalo horse ("cavalry") cavallo cheval Pferd cavalo 말 (馬)
maro maro sea ("marine") mare mer Meer mar 바다
nacio naciono nation nazione nation Nation nacia nacion 나라
studi studiar study studiare etudier studieren estudiar 공부하다
juna yuna young giovane ("junior") jeune jung yuniy 젊은, 어린

[편집] 문자

이 부분의 본문은 에스페란토 문자입니다.

에스페란토는 라틴 문자에 ĉ, ĝ, ĥ, ĵ, ŝ, ŭ 6글자가 더해지고, q, w, x, y 4글자가 빠진, 총 28자의 문자를 쓴다. 에스페란토에서 쓰는 라틴 문자를 알파벳토(alfabeto)라고 한다.

a b c ĉ d e f g ĝ h ĥ i j ĵ k l m n o p r s ŝ t u ŭ v z

[편집] 각 로마자의 발음

Aa Bb Cc Ĉĉ Dd Ee Ff
[a] [b] [ts] [ʧ] [d] [e] [f]
Gg Ĝĝ Hh Ĥĥ Ii Jj Ĵĵ
[g] [ʤ] [h] [x] [i] [j] [ʒ]
Kk Ll Mm Nn Oo Pp Rr
[k] [l] [m] [n] [o,ɔ] [p] [r]
Ss Ŝŝ Tt Uu Ŭŭ Vv Zz
[s] [ʃ] [t] [u] [w] [v] [z]


  • Cc, Ĉĉ, Ĝĝ, Ĥĥ, Ĵĵ, Ŝŝ, Ŭŭ를 제외한 모든 문자는 IPA표기와 일치한다.
  • 에스페란토는 한국어와 달리 유기음(예: ㅋ)과, 무기음(예: ㄲ)의 구분이 없으며, 무성음과 유성음의 구분이 있다.
무성음 p [p] t [t] k [k] f [f] s [s] ŝ [ʃ] ĉ [ʧ]
유성음 b [b] d [d] g [g] v [v] z [z] ĵ [ʒ] ĝ [ʤ]

[편집] 수페르시그노

"ĉ, ĝ, ĥ, ĵ, ŝ, ŭ" 6글자 위에 붙어 있는 발음 구별 기호수페르시그노(Supersigno) 또는 차펠로(Ĉapelo)라고 한다.

[편집] H-sistemo

에스페란토의 알파벳중에 자판에 존재하지 않는 라틴 문자를 어떻게 입력할 것인가가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왔다. 그중 'Fundamento de Esperanto'(에스페란토 기본서)에서 제시한 방법이 H-sistemo(호 시스테모)이다.

  • Ĉ ⇒ Ch
  • Ĝ ⇒ Gh
  • Ĥ ⇒ Hh
  • Ĵ ⇒ Jh
  • Ŝ ⇒ Sh
  • Ŭ ⇒ U

[편집] X-sistemo

'H-sistemo'는 친숙해 보일 수 있으나, 컴퓨터에서 일괄 변환하는데 무리가 있다. 그래서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X-sistemo(익소 시스테모)이다. 이는 현재 에스페란토 위키백과에서 쓰이고 있다.

  • Ĉ ⇒ Cx
  • Ĝ ⇒ Gx
  • Ĥ ⇒ Hx
  • Ĵ ⇒ Jx
  • Ŝ ⇒ Sx
  • Ŭ ⇒ Ux

[편집] 실례

[편집] 상용어

  • Saluton! (살루톤) 안녕하세요
  • Ĝis revido! (지스레비도) 다시만나요
  • Adiaŭ! (아디아우) 안녕히 가세요
  • Longan tempon (롱간 템폰) 오랜만이에요
  • Jes (예스) 네
  • Ne (네) 아니오
  • Dankon (단콘) 감사합니다
  • Mi tre ĝojas renkonti vin. (미 트레 조야스 렌콘티 빈) 만나서 반가워요.
  • Ĉu vi fartas bone? (추 비 파르타스 보네) 잘 지네십니까?

[편집] 주기도문

Patro nia, kiu estas en la ĉielo,
sanktigata estu via nomo.
Venu via regno,
fariĝu via volo, kiel en la ĉielo, tiel ankaŭ sur la tero.
Nian panon ĉiutagan donu al ni hodiaŭ.
Kaj pardonu al ni niajn ŝuldojn,
kiel ankaŭ ni pardonas al niaj ŝuldantoj.
Kaj ne konduku nin en tenton,
sed liberigu nin de la malbono.
(ĉar via estas la regno kaj la potenco
kaj la gloro eterne. Amen.)

[편집] 비판과 개선안

[편집] 에스페란티도

이 부분의 본문은 에스페란티도입니다.

에스페란토가 발표된 이후, 수십가지의 개선안과 에스페란토에서 파생된 인공어가 만들어 졌다. 이를 에스페란티도 (Esperantido)라고 한다.

[편집] 성 차별 문제

에스페란토에서 기본적인 단어는 남성으로 규정하고 있다. 여성의 경우 접미사 -in-를 붙여 나타낸다. (예: patro아버지, patrino어머니) 즉, 남성의 경우에는 그냥 나타내고, 여성일 경우에는 접미사 -in-을 사용하여 특별히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에스페란토가 발표된 1887년 당시 시대적 배경에서 유래한 남성우월주의이며, 에스페란토 주의에서 강조하는 사상 중 하나인 '평등'에 위배 된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가족에 관한 단어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인 단어는 성을 나타내지 않고, 남성을 나타낼 때는 vir-를 붙이는게 일반적이다. (예:kato고양이, virkato숫고양이, katino암고양이) 또한 일부 에스페란티스토는 남성을 나타내는 접미사 -iĉ-를 추가 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를 'iĉismo'(이치스모)라 한다.

참고로, 에스페란토의 성과 관련한 문제로, 성을 나타내지 않는 대명사 'ri'를 추가하여, 일반적인 상황에서 'ri'의 사용을 주장하는 리이스모(riismo)도 있다.

[편집] 유럽인에게 만 쉬운 에스페란토

1992년 9월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연맹 총회에서 채출된 보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인용문이 실려 있다 "에스페란토를 배우기 쉽다는 것은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에스페란토를 배우는 데는 유럽과 미국의 아이들은 매 주 2시간씩 1년이 그리고 극동의 아이들은 매 주 2시간씩 2년이 걸린다. 반면 극동의 아이들이 다른 유럽어를 배우려면 매 주 4~5시간씩 6년을 공부해야 한다."[1] 이는 에스페란토는 다른 언어에 비해 학습을 위해 10배 가량 시간이 적게 걸린다는 장점을 말하기도 하지만, 유럽인들에 비해 극동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에스페란토를 배우기 힘들다는 단점을 말하기도 한다. 이는 에스페란토의 대부분의 어휘가 유럽에서 기원하였으므로 그 언어와 관계없는 언어의 사용자는 에스페란토어 어휘의 의미와 정확한 쓰임을 외우는데 시간이 더 걸린다고 볼 수 있다. [2]

[편집] 대격

에스페란토는 대격을 나타내기 위해 접미사 -n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라틴어에서 유래된것으로, 한국어의 경우 대격 조사 '을/를'을 사용하여, 겉으로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많은 유럽어의 경우 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으며, -n의 사용법을 배우는데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에스페란토의 대선안 중 하나인 이도는 이 것을 해결하기 위해 대격 어미 -n을 제외하였다.

[편집] 동의어

에스페란토는 외래어를 받아 드리는데, 일정한 규칙이 없으며, 필요에 의해 누군가가 만든 단어가 일정 수준 이상 널리 알려지면, 그런 새로운 단어를 모아서 발표하는, 소극적 방식으로 어휘를 늘려가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인해 같은 뜻을 가진 두 단어 이상이 널리 사용할 경우, 동일하게 쓰이는 단어임에도 배우는 자의 입장에서는 둘다 외우는 수 밖에 없다. 유럽 사용자의 경우, 유럽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단어를 에스페란토화 하는것을, 비유럽권에서는 기존 단어를 사용하여 합성어를 만드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같은 뜻을 가진 단어가 두개 이상 동시에 쓰이는 경우가 있다. 합성어의 경우에도 사람마다 합성어를 만드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뜻을 가진 여러 개의 합성어가 함께 쓰이는 경우가 있다.

  • futur-o, est-ont-o 미래
  • pas-int-ec-o, est-int-o 과거

또한, 원래 하나였던 단어가 여러개로 분화되는 경우도 있다.

  • -uj-(국가를 나타내는 접미사) → -i-(단일민족국가), -land-(국명이 land로 끝나는 국가), (다민족국가에는 붙이지 않는다)

이 처럼 에스페란토에는 자연어처럼 동의어가 상당히 많으며, 에스페란토 학회가 동의어 정리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가 동의어를 모두 외워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편집] 발음

학습자의 모국어에 따라 일부 발음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올 수 있다.

  • c를 ĉ또는 s로 혼동하기 쉽다. 특히 한국어 화자는 c를 ĉ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 ĵĝ를 구분하지 않는 언어가 많다.
  • ĥ를 발음 하지 못하는 화자가 많기 때문에, 해당 글자가 k나 h로 바뀌면서 점차 소멸해 가고 있다.

일부 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겪는다.

  • 한국어 화자의 경우, pf 그리고 bv를 구분하는 것을 어려워 한다.
  • 일본어 화자의 경우, rl을 구분하는 것을 어려워 한다.

한국어 화자가 자주 하는 실수는 다음과 같다.

  • 유성음을 무성음으로 발음한다.
  • ĵ, ĝ, z를 모두 ĝ로 발음한다.
  • fp로, vb로 발음한다.
  • rl을 혼동해서 발음한다.
  • cĉ로 발음한다.
  • 무의식 적으로 모음 앞에 j를 넣어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편집] 대한민국내의 에스페란토

현재 한국에서는, 에스페란토를 보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 한국에스페란토협회가 설립되어, 전국에 10개의 지부와 4개의 지회를 두고있다. 서울에 있는 에스페란토 문화원에서는 매월 에스페란토 보급을 위한 강습회를 가지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단국대학교, 원광대학교에서 에스페란토를 교양과목으로 강의하고있다. 또한 몇몇 대학과 고등학교에는 에스페란토 클럽이 있으며, 청년회에서는 웹진활동 및 한중일의 에스페란토들이 함께하는 모임을 매해 가지고 있다.

매년마다 한국에스페란토대회(Korea Kongreso de Esperanto)를 개최하고 있다. 2006년에는 9월 14일부터 15일까지 포스코 인재개발원에서 진행되었다.

[편집] 참조와 인용

  1. 에스페란토에 대한 비판과 응답(나성권 신부)
  2. 어원, 에스페란토 기초 참조.

[편집] 같이 읽기

[편집] 바깥 고리

위키백과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위키미디어 공용에 이 글에 관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Category:Esperanto


인공어
국제보조어
링구아프랑카노바 | 볼라퓌크 | 에스페란토 | 이도 | 인테르링구아
합리어, 철학어
쳉리 | 이쓰퀼 | 로그란 | 로지반 | 로 | 도기 보나
예술어, 소설에 나오는 언어
클링곤 | 링구아이그노타 | 꿰냐 | 신다린 | 바론
기타
구모소포 | 분류:인공어
Our "Network":

Project Gutenberg
https://gutenberg.classicistranieri.com

Encyclopaedia Britannica 1911
https://encyclopaediabritannica.classicistranieri.com

Librivox Audiobooks
https://librivox.classicistranieri.com

Linux Distributions
https://old.classicistranieri.com

Magnatune (MP3 Music)
https://magnatune.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June 2008)
https://wikipedia.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March 2008)
https://wikipedia2007.classicistranieri.com/mar2008/

Static Wikipedia (2007)
https://wikipedia2007.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2006)
https://wikipedia2006.classicistranieri.com

Liber Liber
https://liberliber.classicistranieri.com

ZIM Files for Kiwix
https://zim.classicistranieri.com


Other Websites:

Bach - Goldberg Variations
https://www.goldbergvariations.org

Lazarillo de Tormes
https://www.lazarillodetormes.org

Madame Bovary
https://www.madamebovary.org

Il Fu Mattia Pascal
https://www.mattiapascal.it

The Voice in the Desert
https://www.thevoiceinthedesert.org

Confessione d'un amore fascista
https://www.amorefascista.it

Malinverno
https://www.malinverno.org

Debito formativo
https://www.debitoformativo.it

Adina Spire
https://www.adinaspi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