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수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론에서 완전수(完全數)는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를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되는 양의 정수를 말한다.
최초 네 개의 완전수는 6, 28, 496, 8128이다.
6 = 1 + 2 + 3 28 = 1 + 2 + 4 + 7 + 14 496 = 1 + 2 + 4 + 8 + 16 + 31 + 62 + 124 + 248 8128 = 1 + 2 + 4 + 8 + 16 + 32 + 64 + 127 + 254 + 508 + 1016 + 2032 + 4064
또, 완전수는 항상 연속되는 자연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6 = 1 + 2 + 3 28 = 1 + 2 + 3 + 4 + 5 + 6 + 7 496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 . + 30 + 31 8128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 . + 126 + 127
[편집] 짝수 완전수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들 네 개의 완전수 밖에는 알지 못했다. 유클리드는 이들을 2n−1(2n − 1) 에 알맞은 수를 대입해 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n = 2 일때: 21(22 − 1) = 6
- n = 3 일때: 22(23 − 1) = 28
- n = 5 일때: 24(25 − 1) = 496
- n = 7 일때: 26(27 − 1) = 8128
유클리드는 여기서 2n − 1이 언제나 소수라는 점에 착안하여 2n − 1가 소수일 때 2n−1(2n − 1)는 완전수라는 것을 증명했다.
이때 n은 언제나 소수이지만 n이 소수라고 2n − 1도 꼭 소수가 되지는 않는다. 2n − 1이 소수일 때는 이를 메르센 소수라고 부른다. 마랭 메르센은 17세기에 정수론과 완전수를 연구한 수도승이었다.
유클리드 이후 2천년이 지나,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모든 짝수 완전수는 2n−1(2n − 1)의 형태라는 것을 증명했다. 즉 짝수 완전수와 메르센 소수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메르센 소수의 수가 유한한지 무한한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완전수의 수가 무한한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편집] 홀수 완전수
홀수 완전수가 존재하는 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적어도 10300까지의 정수 중에는 없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완전수와 더불어, 진약수를 더해서 자기 자신보다 적은 수를 부족수, 많은 수를 과잉수라 부른다. 서로의 진약수를 더하면 상대편이 되는 두 수는 친화수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