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역사 |
---|
한국의 선사 시대 |
현대사 |
군정기 |
남 · 북 |
건국 년도 | 698년 |
정치체제 | 봉건주의, 절대 군주제 |
해체 년도 | 926년 3월 |
인구구성 | 고구려인, 여진족 |
국교 | 불교, 유교 |
수도 | 상경 용천부 |
행정구역 | 5경 16부 |
수출 | 말, 모피, 철 |
수입 | 금, 은, 귀걸이 |
무역상대국 | 일본, 당나라 |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한반도 북부, 만주 동부, 연해주에 걸쳐서 229년간 존속한 나라이다. 고구려가 멸망한 지 약 30년 뒤인 698년, 만주와 연해주 일대에 기반을 둔 속말말갈의 걸걸중상과 대조영이 만주에서 당 세력이 쇠퇴한 틈을 타 건국하여 신라와 함께 남북국 시대의 한 축이 되었다가 926년 1월 기마병을 이끌고 침략한 거란의 요 태조의 침입을 받아 멸망했다.
건국할 당시 스스로 진국, 또는 대진국이라 칭하였으나 이후 발해로 국명을 바꾸었다. 사료에 따르면 713년 당나라가 대조영을 발해 국왕에 책봉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중화인민공화국 학계에서는 이 책봉 이후로 진국이 이름을 발해로 바꾸었다고 하며, 북조선 학계에서는 진국이 스스로 이름을 발해로 바꾸었는데 당이 이를 추인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고 한다.
발해는 일본과의 외교문서에서 ‘고구려의 계승국’으로 자처한 바 있으나 그밖의 나라들과의 외교관계에서는 고구려와의 계승 관계를 주장한 일이 없다. 발해의 문화는 고구려, 당, 여진 문화가 섞인 것이었으며, 당과 거란의 역사서는 발해가 ‘해동성국’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는 점을 들어 발해가 고급문화를 향유했음을 시사한다.
발해인이 남긴 역사적 사료는 전해지지 않는다. 그래서 중국의 사료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알려져 있다. 남아 있는 발해에 대한 기록은 구당서와 신당서, 일연의 삼국유사, 유득공의 발해고 정도이다. 그러나 20세기 이후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발해는 당과 교류를 하면서 막강한 군사력과 발전된 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고구려의 계승을 명분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오늘의 북조선과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에 걸친 영토를 차지하였다.
목차 |
발해의 역대 국왕
- 고왕 대조영, 재위 698년-719년
- 무왕 대무예, 재위 719년-737년
- 문왕 대흥무, 재위 737년-793년
- 대원의, 재위 793년-794년. 시호 없음(폐위)
- 성왕 대화흥, 재위 794년
- 강왕 대승린, 재위 794년-808년
- 정왕 대원유, 재위 808년-812년
- 희왕 대언의, 재위 812년-817년경
- 간왕 대명충, 재위 817년경-818년경
- 선왕 대인수, 재위 818년경-830년
- 화왕 대이진, 재위 830년-857년
- 안왕 대건황, 재위 857년-895년
- 경왕 대현석, 재위 871년-895년
- 대위계, 재위 895년-907년 시호가 알려지지 않았음.
- 애왕, 재위 907년경-926년
연표
연도 | 왕 | 연호 | 설명 |
668 | 고구려 멸망. 걸걸중상, 식구를 이끌고 영주로 옮김. | ||
698 | 대조영 | 원년 | 인구 10여만호, 군사 정예군 수만 명으로 발해(震) 건국. |
713 | 16년 | 국호를 발해로 고침. | |
719 | 대무예 | 21년 | 대조영 사망. 무왕 즉위, 연호 인안. |
732 | 인안14년 | 장문휴를 보내어 해군으로 당의 등주를 공격. | |
733 | 인안15년 | 당 현종, 대문예를 보내어 발해 공격. 신라도 협조하였으나 폭설로 중지. | |
737 | 대흠무 | 인안19년 | 무왕 사망. 문왕 즉위, 연호 대흥. |
756 | 대흥20년 | 상경으로 수도를 옮김. | |
793 | 대흥57년 | 문왕 사망. 동생 원의가 즉위했으나 1년 후 사망. | |
794 | 대화여 | 성왕 즉위, 연호 중흥. | |
794 | 대숭린 | 중흥원년 | 강왕 즉위, 연호 정력. |
809 | 대원유 | 정력16년 | 강왕 사망. 정왕 즉위, 연호 영덕. |
812 | 대언의 | 영덕4년 | 정왕 사망. 희왕 즉위, 연호 주작. |
817 | 대명충 | 주작6년 | 희왕 사망. 간왕 즉위, 연호 태시. |
818 | 대인수 | 태시2년 | 간왕 사망. 선왕 즉위, 연호 건흥. 신라를 침공, 북쪽 부락을 공략. |
830 | 대이진 | 건흥13년 | 선왕 사망. 이진 즉위. 이듬해를 함화 원년. |
857 | 대건황 | 함화26년 | 대이진 사망. 건황 즉위. |
871 | 대현석 | 15년 | 대건황 사망. 현석 즉위. |
894 | 대위해 | 24년 | 대현석 사망. 위해 즉위. |
906 | 대인선 | 13년 | 대위해 사망. 인선 즉위. |
906 | 7년 | 신라와 비밀리에 연계를 맺음. | |
924 | 19년 | 요나라 공격, 요주자사를 죽이고 백성들을 빼앗음. | |
925 | 20년 | 발해인 장군 500여 명 고려로 망명. 12월 요나라가 발해에 침입. | |
926 | 21년 | 부여부 요나라에 함락. | |
926 | 21년 | 발해 멸망. 국명을 동단국으로 바꾸고 요나라 태자가 통치. |
발해의 역사서
유득공의 발해고에 의하면, 18세기의 규장각에서도 발해의 정식 역사서를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진위 논란이 있는 자료들 중에는 발해의 역사를 기술하지 않으나 발해 때에 씌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역사서들이 있다.
- 《규원사화》의 토대가 된 《진역유기(震域遺記)》는 발해 유민들이 고려에 귀화할 때 가지고 왔을 것으로 추측되는 《조대기》를 근거로 쓰여졌다고 한다.
- 《단기고사》는 그 서문에서 고황제 대조영의 동생 대야발이 편찬했다고 한다.
이들은 모두 발해가 아닌 고조선 이전의 역사를 담고 있다. 단기고사는 그 내용이 시대에 어긋나는 것들이 많아 내용의 상당 부분이 위작으로 여겨진다.
발해 화폐
1930년대 발해의 수도인 상경 용천부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된 금속화폐 `발해통보`5점이 대한민국 내의 어느 교수의 감정결과 발해의 금속화폐로 판정되었다. 이 금속화폐에는‘발해통보’와‘천통팔년 이라는 글자가 확실히 새겨져 있다. 이 화폐가 진품으로 확인 될 경우 중화인민공화국의 동북공정을 뒤집는 중요한 단서가 될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일연, 《삼국유사》
- 유득공, 《발해고(渤海考)》, 1784.
- 김육불, 《유치국사》 중 《발해국지장편》
- 《발해사연구》, 연변대학출판사.
바깥고리
이 문서는 한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