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s, Audobooks and Classical Music from Liber Liber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Web - Amazon

We provide Linux to the World


We support WINRAR [What is this] - [Download .exe file(s) for Windows]

CLASSICISTRANIERI HOME PAGE - YOUTUBE CHANNEL
SITEMAP
Audiobooks by Valerio Di Stefano: Single Download - Complete Download [TAR] [WIM] [ZIP] [RAR] - Alphabetical Download  [TAR] [WIM] [ZIP] [RAR] - Download Instructions

Make a donation: IBAN: IT36M0708677020000000008016 - BIC/SWIFT:  ICRAITRRU60 - VALERIO DI STEFANO or
Privacy Policy Cookie Policy Terms and Conditions
우고 차베스 - 위키백과

우고 차베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의 53대 대통령
 임기  1999년 2월 2일-2002년 4월 12일,
2002년 4월 13일-현재
 전임  라파엘 칼데라
 출생  1954년 7월 28일
바리나스 주 사바네타
 정당  제5공화국운동
부통령 호세 비센테 란헬

우고 라파엘 차베스 프리아스(에스파냐어: Hugo Rafael Chavez Frias, 1954년 7월 28일)는 베네수엘라의 현임 53대 대통령[1]이다.

볼리바리안 혁명의 지도자인 그는 민주사회주의 추진과[2] 라틴 아메리카 통합 그리고 미국 주도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미국의 대외 정책에 반제국주의로 맞서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3]

차베스는 직업 군인으로서 좌익적인 1992년 쿠데타의 실패 후 제5공화국운동을 시작하였다. 차베스는 베네수엘라의 빈곤 민중의 편에 서겠다는 공약을 내세워 1998년 대통령에 선출되었으며[4] 2000년 재선되었다.[5] 국내적으로 차베스는 대규모 볼리바리안 임무들을 시작하여 질병, 문맹, 영양 부족과 빈곤 등의 사회 문제를 퇴치하고자 한다. 국외적으로 차베스는 워싱턴 총의에 대적하여 대안적인 경제 발전 모델을 지지하고 세계의 가난한 국민, 특히 라틴아메리카 국민들의 협조를 주창한다.

차베스는 베네수엘라의 중상류층의 격렬한 비난 공세를 받았다. 이들은 그가 부정 선거, 인권 침해, 정치 억압 등을 행하고 있다고 공격한다. 그는 이들이 조직한 2002년의 쿠데타 시도와 2004년 국민 소환 투표에서 승리했다.[6] 사회주의 해방자와 권위주의적 포퓰리스트의 이미지 사이에서 차베스는 현대 라틴아메리카 정치에서 가장 복합적이고 논란적이며 저명한 인물로 남아 있다.

목차

[편집] 생애 초기 (1954-1992)

차베스는 1954년 7월 28일 바리나스 주 사바네타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우고 데 로스 레예스 차베스와 어머니 엘레나 프리아스 차베스는 둘 다 교사였다.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인 그리고 에스파냐인의 피가 그에게 흐르고 있다. 그는 사바네타 인근의 집에서 자라났다. 어릴 적에 형과 함께 사바네타로 보내져 친할머니 로사 이네스 차베스와 함께 살았다. 거기서 차베스는 칠하기, 노래하기등과 야구를 즐기며 훌리안 피노 초등학교를 다녔다. [7] 이후 그는 바리나스의 다니엘 플로렌시오 오리리 학교로 강제적으로 전학을 하게 되었다.

17살이 되었을 때 차베스는 베네수엘라 군사학교에 입학하였다. 1975년 군사학 학위를 취득하고 중위로 졸업하여 몇 달간 복무를 하였다. 이후 카라카스의 시몬 볼리바르 대학에서 정치학 대학원 과정을 시작하였으나 학위를 취득하지 않은 채 대학을 떠났다.

대학 생활 동안 차베스와 동료 학생들은 19세기 베네수엘라 혁명가 시몬 볼리바르의 판아메리카 주의 철학과 페루 독재자 후안 벨라스코 알바라도와 다수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이념에서 영감을 얻어 치열한 좌파 민족주의 사상을 구상해 이를 볼리바리안 주의라 불렀다. 차베스는 또한 스포츠와 문화 활동에도 참여했다. 특히 "베네수엘라의 조무래기 크리오요"라는 무리와 야구 및 소프트볼 게임에 참여해 1969년 베네수엘라 전국 야구 챔피언십에 도전했다. 차베스는 또한 수많은 시와 소설 및 연극 작품 또한 썼다. [7] 1111 학업을 마친 후 차베스는 바리나스의 체제 유지 대대 에 편입되어 전방 복무를 시작했다. 차베스는 17년간 군에 복무했는데 이 기간 동안 다양한 전방, 지휘 체계, 그리고 방위 업무를 맡아 중령 의 자리에 올랐다. 차베스는 또한 베네수엘라 군사학교에서 가르치기도 했으며 여기서 그의 정열적인 교수법과 베네수엘라 정부와 사회에 대한 신랄한 비판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8] 이 기간 동안 차베스는 볼리바리안 주의를 따르는 혁명 볼리바리안 운동-200 (MBR-200)를 조직하였다. 이후 그는 수도 카라카스의 여러 상부 직책을 맡았으며 여러 번 훈장을 받았다. [7]

[편집] 1992년 쿠데타 시도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 행정부 치하의 장기 민중 불만과 경제 후퇴[9]에 응답하여 차베스는 군사 쿠데타를 준비하기 시작했다.[10] MBR-200 주도하의 쿠데타 날짜는 처음 1991년 12월로 잡았으나 1992년 2월 4일 새벽으로 연기하였다. 이날 차베스 지휘 하의 군대 다섯 부대(five army unit)는 다수의 군사 목표물 및 통신망 점령을 목표로 카라카스 도심지로 진격하였다. 이들 목표는 미라플로레스 대통령 궁, 국방부 건물, 라 카를로타 군사 공항, 그리고 역사박물관이었다. 차베스의 최종 목표는 해외 출장에서 돌아오는 페레스 대통령을 사로잡는 것이었다.

베네수엘라 군 10% 미만의 세력이 차베스의 명령을 따랐다.[11] 수많은 배반, 중도 배반, 실수 그리고 그 밖의 상황에 몰려 차베스와 소수의 반란자들만이 역사박물관에 고립되어 전국에 퍼져있는 스파이와 지원자들에게 연락할 방법이 끊겨지게 되었다.[12] 또한 차베스의 동지들은 미리 준비한 비디오테이프를 공영 방송국을 통하여 방송하는 것에 실패하였다. 차베스는 테이프를 통하여 대중 시민 봉기를 호소하려 하였다. 쿠데타가 진행됨에 따라 페레스 대통령을 사로잡는 것은 실패하였다. 격전 중에서 14명의 병사가 죽임당하고 50명의 병사와 80명의 시민이 부상당하였다. [13] 베네수엘라의 타 지역 반란 세력들은 즉흥적 민중 반란에 힘입어 카라보보 주 발렌시아 시, 마라카이보, 마라카이 등 대도시를 손에 넣었으나 카라카스를 점령하는 것에는 실패하였다.[14]

위기를 느낀 차베스는 스스로 정부군에 체포되었다. 정부는 나머지 반란 세력들이 투쟁을 중단하도록 차베스가 공영 방송국에 출연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그러나 차베스는 투쟁 중단 요청과 함께 단지 por ahora (당분간) 실패한 것뿐이라고 슬쩍 첨가했다. [15] 그는 이 발언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수많은 베네수엘라 빈민은 그를 정부 부정부패에 맞설 수 있는 인물로 인식하게 되었다.[16][17] 차베스는 야레 감옥으로 보내졌으며 페레스 대통령은 이듬해 탄핵되었다. 투옥 생활 중 차베스는 눈의 안쪽으로 살이 자라나는 질병을 앓아 이후 수술을 받았으나 시력이 만성적으로 약화되었다.[18]

[편집] 정계 진입 (1992-1999)

우고 차베스의 선거 결과
— 1998년 대선 —
후보 득표 득표율
차베스: 3,673,685 56%
H. 살라스: 2,613,161 40%

2년의 투옥 생활 이후 차베스는 대통령 라파엘 칼데라에 의하여 1994년 사면 받았다. 감옥에서 풀려난 차베스는 MBR-200을 제5공화국운동(MVR - Movimiento Quinta República)으로 조직하였다. 이후 1998년 차베스는 대선을 겨누고 캠페인을 시작했다. 민심을 얻기 위하여 차베스는 볼리바리안 주의에 기반을 던 국가 아젠다 초안을 제시하였다. 차베스와 그의 지지자들은 이러한 작업을 기존의 정당 다툼의 공화국을 교체할 "새로운 공화국의 초석"에 비유하였다. 이들의 분석에 의하면 현 헌법은 나라의 "puntofijismo" 라 불리는 양당체제를 정치와 법적으로 유지시키는 매개나 다름없었다. 베네수엘라 일련의 거대 은행의 소유주인 에스파냐의 Banco Bilbao Vizcaya Argentaria (BBVA)은행과 Banco Santander (BSCH)은행 등 외국 은행은 수백만 달러 규모 불법 정치 자금을 동원해 차베스의 캠페인을 후원했는데 이것은 큰 논란거리가 되었다.

차베스는 자신의 카리스마와 투박한 연설 스타일을 통하여 빈곤 노동 계급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1998년 5월과 8월 사이, 차베스의 지지도는 30%에서 39%로 급상승하였다. 그는 1998년 12월 6일 카터 센터가 승인 1998년 대선에서 56% 지지를 받아 승리하였다.

[편집] 대통령직 (1999-현재)

[편집] 1999: 경제 위기와 새로운 헌법

1999년 1월 12일 파리 대통령궁에서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락을 만나는 차베스 (프랑스 외교부 사진 서비스)
실제 크기로
1999년 1월 12일 파리 대통령궁에서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락을 만나는 차베스 (프랑스 외교부 사진 서비스)

차베스는 1999년 2월 2일 선서식을 거쳐 베네수엘라의 경제 쇠퇴기를 극복하고 제계에 국가가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차베스는 임기의 첫 수 달 동안 신법 제정과 헌법 개혁을 통해 양당체제를 해체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이차적으로 사회 및 복지 프로그램에 추가적인 정부 자금을 배당하는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유래 보기 힘든 석유 가격과 국제 융자 이자액의 급등이 베네수엘라 경제를 덮쳤다. 축소된 연방 잔고는 차베스의 대규모 빈곤 퇴치 프로그램에 거의 기여를 하지 못했다. 1999년 4월 차베스는 높은 유지비에도 불구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를 않는 국가 기관 - 군대 - 로 눈을 돌렸다. 차베스는 전 부대에 베네수엘라의 빈촌과 농촌 지역에 정치 및 사회 발전을 가져 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립하도록 명령을 내렸다. 이 민-군 협력 프로그램은 "볼리바르 계획 2000"으로 명명되어 시작되었으며 예전 1990년대 쿠바의 "특수 시대" 동안 쿠바 대통령 피델 카스트로가 설립한 유사 프로그램과 매우 비슷하게 디자인 되었다. 볼리바르 계획 200은 도로 건설, 주거 지역 건설, 그리고 대규모 예방 접종 등의 면모를 지녔다. 그러나 2001년, 군 간부들의 (이후 차베스에게 적대적인 경향을 띄어 쿠데타에 참가한 간부와 차베스를 지지하는 간부 모두) 부정부패가 적발되자 프로그램은 크게 위축되었다.

차베스는 국민연금제도와 알루미늄 산업 그리고 석유 산업 등의 국가 산업 사유화를 추진하던 전임 대통령과 큰 차이를 보였다. 차베스는 부의 재분배를 주창하면서도 외국 자본 유치를 소홀히 하지 않았으며 동시에 투기 자본의 인플레 경향을 막기 위하여 적당 순에서 외자 도입을 제어했다.

차베스는 베네수엘라의 외국 자본 유치를 위하여 베네수엘라의 석유 추출량을 감소시켰다. 이론적으로는 석유가 줄어들면 석유 가격이 오르게 되어 전체 석유 순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타 OPEC 국가들과 적극적으로 협상하여 석유 수출량을 줄이도록 설득하였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하여 차베스는 석유 산업계와 OPEC 에서 "가격 매파"로 불리게 되었다. 또한 차베스는 석유 초대형 기업 Philips Petrolum과 ExxonMobil과의 60년 로열티제 계약의 포괄적 재협상을 시도하였다. 기존의 합의안에 의하면 이들 기업은 베네수엘라 석유 개발을 통해 수백억 달러의 수익을 올리고 있었다. 차베스는 협상 도중 석유 산업을 완전히 국유화 하겠다는 의도를 밝혔다. 석유 기업과의 재협상은 실패했으나 차베스는 베네수엘라의 느슨한 세금 제도의 공평성과 효율성을 특히 대기업과 지주들을 상대로 증진하는 것에 몰두했다.

우고 차베스의 선거 결과
— 1999년 헌법 국민 투표 —
새로운 헌법을 제정 할 것인가?
항목 Votes %
예: 3,301,475 72%
아니오: 1,298,105 28%

그러나 1999년대 중반에 들어서 차베스의 빈곤 퇴치 캠페인이 난관에 봉착하자 큰 비난을 맞게 되었다. 국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차베스의 입법안들을 저지하였다. 차베스는 이들 저항 세력을 넘어서기 위하여 본인이 당선 된지 몇 달 안 된 1999년 7월에 전국 선거를 승인하였다. 첫 선거는 제헌의회를 소집 하는 여부에 대한 국민 투표였다. 이 제헌 의회는 차베스의 정치 이념에 더 근접하는 새로운 베네수엘라 헌법을 만드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두 번째 선거는 이 제헌 의회의 의원들을 선출하는 총선이었다. 제헌 국민투표는 CNE의 심사 하에 72% 지지를 받아 통과되었다. 두 번째 선거를 맞아 차베스의 MVR와 연합 정당들은 애국창살 (Polo Patriótico)을 수립하였다. 애국창살은 131 의석 중 120의석 (95%)을 휩쓸었다.

1999년 8월 제헌 의회는 특수 "사법부 임시 위원회"를 소집하여 정부의 타 권력에 문의하지 않고 판사를 제명 할 권력을 부여받았다. 이 위원회는 190명의 판사를 부정부패로 기소하여 제명하였다. 동시에 제헌 의회는 "사법위기"를 선언하여 일곱 명의 위원회가 국회의 일반 업무를 맡도록 명하였다. 이것은 입법부의 반 차베스 세력이 중립화 되는 것을 의미했다. 동시에 제헌 의회는 국회가 어떠한 형태의 집회라도 가질 수 없도록 했다.

차베스 대통령이 2005년 브라질 포르토 알레그레 세계사회포럼에서 베네수엘라 1999년 헌법의 초소형 견본을 자랑하고 있다.
실제 크기로
차베스 대통령이 2005년 브라질 포르토 알레그레 세계사회포럼에서 베네수엘라 1999년 헌법의 초소형 견본을 자랑하고 있다.

제헌 의회는 1999년 베네수엘라 헌법 초안을 작성했다. 350개 조항을 가진 이 헌법은 세계에서 가장 긴 헌법 중 하나였다. 제일 먼저 도입된 변경 사항은 국명을 "베네수엘라 공화국"에서 "베네수엘라 볼리바리안 공화국"으로 바꾸는 것이었다. 또한 대통령의 임기를 5년에서 6년으로 늘렸으며 동일 대통령직 연속 수행을 한번 연속에서 두 번 연속 수행으로 (총 18년) 바꾸고 대통령 탄핵 국민투표를 가능케 했다. 이러한 국민투표는 최소 서명을 받아야 가능하다. 대통령직은 국회를 해산할 권한을 받는 등 강력한 직위로 바뀌었다. 새로운 헌법은 예전의 양원 (하원과 상원으로 이루어진) 국회를 일원 국회로 바꾸고 권한을 축소하였다. 또한 대통령과 국회 그리고 헌법을 감시할 권한을 부여받는 검찰직을 탄생시켰다. 차베스는 검찰을 베네수엘라 신규 정부의 "도덕적 부분"이라 묘사했다. 마지막으로 국회가 임명하던 판사들은 이제 공청회를 통해서만 임명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 헌법은 1999년 12월 제안 되어 국민 투표로 통과되었다. 이리하여 제헌 의회는 60일 동안 차베스가 원하는 대부분의 구조적 변화를 헌법을 통해 일구어냈다. 차베스는 그의 사회 정의 프로그램을 포괄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변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베네수엘라의 정부와 정치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고자 했으며 정계에 독자적인 정당과 다양한 제3당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했다. 이러한 과정의 일부로 차베스는 저항 세력인 민주행동당 (Acción Democrática)과 사회기독당을 치명적으로 마비시키고자 했다. 차베스의 이러한 목표는 새 헌법 통과라는 한 가지 행동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편집] 2000-2001: 재선

우고 차베스의 선거 결과
— 베네수엘라 2000년 대선 —
출처: 선관위 data
후보 득표 득표율
우고 차베스: 3,757,773 60%
프란시스코 아리아스: 2,359,459 38%
— 2000년 노조 개혁 국민 투표 —
국가가 노조 투표를 감시 할 것인가?
선택 비율
예: 1,632,750 62%
아니오: 719,771 27%

2000년 6월 30일 새 국회 총선이 이루어졌다. 동시에 차베스는 새 헌법 하에 다시 대통령 후보로 나섰다. 차베스의 연합 세력은 국회의 2/3를 쟁취했으며 차베스 본인은 60% 지지를 받아 재선에 성공했다. 카터 센터는 정치적 경황 상 CNE의 공식 결과를 확인할 겨를이 없었다고 보고했으나 이후 선거 결과는 민심을 반영했다고 결론지었다.

이후 2000년 12월 3일 지방 선거와 추가적인 국민 투표가 이루어졌다. 차베스가 지지하는 이 국민투표의 내용은 국가가 베네수엘라의 노조 선거를 감시한다는 내용이었다. 국제노동기구를 포함하여 수많은 국제 노동 조직들이 이 국민 투표가 국가의 노조 내정 간섭이라며 크게 반발하며 베네수엘라에 대하여 징계 조치를 취하겠다는 경고를 보냈다.

2000년 5월 선거와 7월 선거 이후 차베스는 국회가 "권한 부여 법"을 통과시키는 것을 지지하였다. 이 법에 의하여 차베스는 일 년간 행정부 조치를 이용해 직접 법을 만들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이 법이 만료되기 직전인 2001년 11월 차베스는 49개 행정부 조치를 내려 법을 만들었다. 탄화수소법과 토지법 등이 이들 법이며 자세한 것은 하단을 참고하라. 전국 상공회인 Fedecamaras와 노동 총 연맹인 CTV가 이들 법안에 반대하여 2001년 12월 10일 총파업을 제안했다. 총파업을 통하여 이들 연맹은 대통령의 입법 행위를 되돌리고 이들 법안에 대한 토론을 시작하려고 했으나 영향은 미미했다.

3년 임기를 마치면서 차베스의 주요 정책은 베네수엘라 토지 소유자들에게 도전을 주었으며, 아기 사망률을 낮추고 정부 보조를 받는 무료 의료 제도와 대학까지의 교육제도를 무료로 만들어 사회 복지 수준을 높이는 것에 성공했다. 2001년 12월 차베스는 자본 흐름을 제어해 인플레를 40%에서 12%로 잡는 것에 성공했으며 경제 성장률을 안정적인 4%로 높였다. 차베스 행정부는 또한 초등 교육 제도 등록률을 백만 명의 학생으로 늘리는 것에 성공했다고 보고했다.

[편집] 2002: 쿠데타와 파업

2002년 4월 9일 CTV 의 지도자 Carlos Ortega 는 2일 총파업을 개시했다. 약 50만 명의 시위자들이 4월 11일 가두로 나서 베네수엘라 국영 석유 회사 PDVSA로 행진해 해고당한 관리의 복구를 요구했다. 시위 조직가들은 행진을 친차베스 시위대가 집결 중이던 대통령궁 미라플로레스로 보내기로 했다. 차베스는 오후 내내 국영 방송을 통해 시위 해산을 요청했다. 시위대 사이에서 총기 난사 등 폭력이 발생했으며 이에 야당 출신 시장이 지휘하는 카라카스 경찰청과 차베스의 지휘 하에 있는 국토방위대가 개입했다. 친차베스 시위대와 반차베스 시위대가 밀집해있는 지역에 스나이퍼들의 사격 소리가 울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베네수엘라 군수 총사령관 Lucas Rincón Romero은 불시에 전국 방송을 통해 차베스가 대통령직을 사임했다고 발표했다. 차베스는 군사 기지로 끌려가 거기 억류됐으며 군사 지도자들은 상공위장 Pedro Carmona 를 베네수엘라의 임시 대통령으로 임명하였다. Carmona 의 첫 행정조치는 차베스 "볼리바리안 혁명"의 굵직굵직한 사회 및 경제 정책을 모두 원 위치로 되돌려 놓았다. 이것은 금융 제한 취소와 석유 생산 제한을 원 수준으로 되돌려 놓는 것 따위의 조치를 포함했다. Carmona 는 또한 국회와 사법부를 해산하고 국명을 베네수엘라 공화국으로 되돌렸다.

Carmona의 조치에 친 차베스 세력은 전국 규모의 민중 봉기로 응답하였다. 친 차베스 병사들은 이들 봉기에 응답하여 대중적 지지를 확보하고 맞대응 쿠데타를 계획하였다. 이들 병사들은 대통령궁을 점령하고 차베스를 해방하였다. 그리하여 베네수엘라 역사상 가장 짧았던 정부는 막을 내리게 되었고 차베스는 2002년 4월 13일 대통령직에 복귀했다. 이 사건이 있은 후 Rincon 은 육군사령관으로 임명되고 2003년 내무부 장관으로 이동 배치되었다. 반 차베스 세력은 Rincon 이 차베스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음으로 실상은 쿠데타가 발생 한 것이 아니라 다만 차베스가 사임하자 권력의 공백기가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차베스가 브라질 포르토 알레그레 세계 사회 포럼 참석차 2003년 1월 26일 살가도 휘오 공항에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Agência Brasil)
실제 크기로
차베스가 브라질 포르토 알레그레 세계 사회 포럼 참석차 2003년 1월 26일 살가도 휘오 공항에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Agência Brasil)

2002년 4월 대통령직에 복귀한 차베스는 쿠데타에 대한 진상 조사 작업을 벌여 그 배후에는 미국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2002년 4월 16일 차베스는 미국에 등록되어 있는 비행기가 차베스가 억류되어 있던 Orchia 섬 공군기지에 착륙한 기록이 있다고 주장했다. 2002년 5월 14일 차베스는 쿠데타에 미국이 개입했다는 확실한 증거를 잡았다 고 했다. 쿠데타 동안 베네수엘라 레이더 이미지에 베네수엘라 해역과 공영에 미국 함대와 비행 편대가 포착됐다고 했다. The Guardian 은 당시 좌파 출판물 기고자이며 해군 분석가이자 부시 행정부의 비판자인 Wayne Madsen이 미국 해군이 개입했다는 주장은 실었다. 미국 상원 의원 (민주당-코네티컷) Christopher Dodd는 차베스를 제거하는 작업에 워싱턴이 개입했다는 우려를 조사할 것을 요구했다. 이 조사는 추후 "미국 공무원들이 적절히 행동했으며 4월 쿠데타를 유도하는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않았"으며 해군 또한 개입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편집] 2004년 리콜 선거

2003년2004년 차베스는 대중적 지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사회 및 경제 캠페인을 시작했다. 2003년 7월 150만 명의 문맹 성인 인구에게 무료 읽기 쓰기 셈하기를 가르치는 "로빈슨 임무"를 추진했다. 2003년 10월 12일 차베스는 베네수엘라의 원주민 생활, 종교, 토지, 문화 그리고 권리를 보호하는 프로그램인 "과카이프로 임무"를 시작했다. 그리고 2003년 후반기 대통령은 초등학교를 마치지 못한 성인 이백만 명에게 무료 고등학교 교육을 제공하는 "수크레 임무"를 시작했다.

[편집] 2006년 선거

차베스는 2006년 12월 3일 대통령 선거에서 60퍼센트 대의 높은 득표율로 도전자인 로살레스를 물리치고 3선에 성공했다.

[편집] 미주

  1. Universidad Catolica Andres Bello. "Cuadro de Presidentes Venezolanos". Retrieved Internet Archive, 25 Nov 2004.
  2. Munckton, Stuart, "Chavez steps up calls for socialism", 2005-03-13. Retrieved on 2006-06-04.
  3. Ellner, Steve. "The 'Radical' Thesis on Globalization and the Case of Venezuela's Hugo Chavez" Latin American Perspectives, Vol. 29, No. 6, Globalization and Globalism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Nov., 2002), pp. 88-93. Stable URL
  4. McCoy, Jennifer & Trinkunas, Harold (1999). Observation of the 1998 Venezuelan Elections: A Report of the Council of Freely Elected Heads of Government, Carter Center, p. 49.
  5. McCoy, Jennifer & Neuman, Laura (2001). Observed Political Change In Venezuela: The Bolivarian Constitution and 2000 Elections: Final Report, Carter Center, pp. 71-72.
  6. Carter Center (Sep 2004). Report on an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econd Audit Sampl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etition Signers and the Yes Vote in the August 15, 2004 Presidential Recall Referendum in Venezuela, p. 7.
  7. 7.0 7.1 7.2 Government of Venezuela, Gobierno En Linea (2005). "Presidente Hugo Rafael Chavez Frias", Gobierno En Linea. Accessed 15 June 2006.
  8. Gott, Richard. (The Guardian, 25 Aug 2005). "Two fingers to America". Retrieved 18 Oct 2005.
  9. Schuyler, George W. (2001), "Health and Neoliberalism: Venezuela and Cuba", The Policy Studies Organization.
  10. Guillermoprieto (2005).
  11. Gott (2005), p.64.
  12. Gott (2005), p.63.
  13. Gott (2005), p.69.
  14. Gott (2005), pp.66-67.
  15. Gott (2005), p. 67. 차베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동지들이여: 불행히도 우리의 목표는 수도에서 당분간은 이룩되지 못한다. 다시 말해서 여기 카라카스에 있는 우리 세력은 권력을 쟁취하지 못 했다. 너희들은 잘 싸웠다. 그러나 지금은 계획을 세울 때이다. 새로운 기회가 또 나타날 것이며, 그 때가 되면 우리나라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해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16. Gott (2005), p.67.
  17. O'Keefe, Derrick. (Z Communications, 09 Mar 2005). "Building a Democratic, Humanist Socialism: The Political Challenge of the 21st Century". Retrieved 11 Nov 2005.
  18. Chavez, Hugo. [Untitled Speech]. Latino Pastoral Action Center. Bronx, New York City. 17 Sep 2005. Downloadable Audio. Retrieved 05 Nov 2005.
Our "Network":

Project Gutenberg
https://gutenberg.classicistranieri.com

Encyclopaedia Britannica 1911
https://encyclopaediabritannica.classicistranieri.com

Librivox Audiobooks
https://librivox.classicistranieri.com

Linux Distributions
https://old.classicistranieri.com

Magnatune (MP3 Music)
https://magnatune.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June 2008)
https://wikipedia.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March 2008)
https://wikipedia2007.classicistranieri.com/mar2008/

Static Wikipedia (2007)
https://wikipedia2007.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2006)
https://wikipedia2006.classicistranieri.com

Liber Liber
https://liberliber.classicistranieri.com

ZIM Files for Kiwix
https://zim.classicistranieri.com


Other Websites:

Bach - Goldberg Variations
https://www.goldbergvariations.org

Lazarillo de Tormes
https://www.lazarillodetormes.org

Madame Bovary
https://www.madamebovary.org

Il Fu Mattia Pascal
https://www.mattiapascal.it

The Voice in the Desert
https://www.thevoiceinthedesert.org

Confessione d'un amore fascista
https://www.amorefascista.it

Malinverno
https://www.malinverno.org

Debito formativo
https://www.debitoformativo.it

Adina Spire
https://www.adinaspi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