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학적 점군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결정학적 점군이란 결정이 갖는 회전이나 반사와 같은 대칭조작의 모음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무한한 크기의 결정이 있을 때 그 결정이 가진 대칭조작의 모음이 곧 그 결정이 속한 점군이 된다. 결정을 분류할 때 각 점군은 하나의 결정족에 대응된다.
3차원에는 무한히 많은 점군이 존재하지만 실제 결정은 대칭조작 뿐만 아니라 격자 상수에 따른 병진도 있으므로 32개의 점군만이 결정에 적용이 가능하다.
목차 |
[편집] 표현
점군은 그 점군을 구성하는 대칭조작들로 표현된다.
[편집] 쇤플리스 표기법
쇤플리스 표기법은 아래에 문자나 숫자가 기입된 하나의 문자로 표현한다.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O(Octahedron:팔면체)는 팔면체의 대칭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반사조작이 있는 경우 Oh, 없는 경우 O로 표현된다.
- T(Tetrahedron:사면체)는 사면체의 대칭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반사조작이 있는 경우 Td, 없는 경우 T, 반전조작이 있는경우 Th로 표현된다.
- Cn(Cyclic:순환)은 n회 회전축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회전축에 수직한 거울면이 있는 경우 Cnh, 회전축에 평행한 거울면이 있는 경우 Cnv로 표현된다.
- Sn(Spiegel:독일어로 거울)은 n회 회전반사축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Dn(dihedral)은 n회 회전축과 그 축에 수직한 2회 회전축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거기에 더해 n회 회전축에 수직한 거울면이 있는 경우 Dnh, n회 회전축에 평행한 거울면이 있는 경우 Dnv로 표현된다.
n=1,2,3,4 또는 6이다. 왜냐하면 1,2,3,4,6회전만이 결정의 격자 상수에 따른 병진 대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편집] 헤르만-모긴 표기법
주로 공간군의 표현에 쓰이는 헤르만-모긴 표기법으로도 점군의 표현이 가능하다. 이 표기법에 따른 각 점군의 표현은 각각
- 1, 1
- 2, m, 2⁄m
- 222, mm2, mmm
- 4,4, 4⁄m, 422, 4mm, 42m, 4⁄mmm
- 3, 3, 32, 3m, 3m
- 6, 6, 6⁄m, 622, 6mm, 62m, 6⁄mmm
- 23, m3, 432, 43m, m3m
이다.
[편집] 결정계에 따른 점군의 총람
결정계 | 점군 / 결정족 | 쇤플리스 | 헤르만-모긴 | orbifold | 유형 |
---|---|---|---|---|---|
삼사정계 | triclinic-pedial | C1 | 11 | enantiomorphic polar | |
triclinic-pinacoidal | Ci | 1x | centrosymmetric | ||
단사정계 | monoclinic-sphenoidal | C2 | 22 | enantiomorphic polar | |
monoclinic-domatic | Cs | 1* | polar | ||
monoclinic-prismatic | C2h | 2* | centrosymmetric | ||
사방정계 | orthorhombic-sphenoidal | D2 | 222 | enantiomorphic | |
orthorhombic-pyramidal | C2v | *22 | polar | ||
orthorhombic-bipyramidal | D2h | *222 | centrosymmetric | ||
정방정계 | tetragonal-pyramidal | C4 | 44 | enantiomorphic polar | |
tetragonal-disphenoidial | S4 | 2x | |||
tetragonal-dipyramidal | C4h | 4* | centrosymmetric | ||
tetragonal-trapezoidal | D4 | 422 | enantiomorphic | ||
ditetragonal-pyramidal | C4v | *44 | polar | ||
tetragonal-scalenoidal | D2d | or | 2*2 | ||
ditetragonal-dipyramidal | D4h | *422 | centrosymmetric | ||
삼방정계 | trigonal-pyramidal | C3 | 33 | enantiomorphic polar | |
rhombohedral | S6 (C3i) | 3x | centrosymmetric | ||
trigonal-trapezoidal | D3 | or or | 322 | enantiomorphic | |
ditrigonal-pyramidal | C3v | or or | *33 | polar | |
ditrigonal-scalahedral | D3d | or or | 2*3 | centrosymmetric | |
육방정계 | hexagonal-pyramidal | C6 | 66 | enantiomorphic polar | |
trigonal-dipyramidal | C3h | 3* | |||
hexagonal-dipyramidal | C6h | 6* | centrosymmetric | ||
hexagonal-trapezoidal | D6 | 622 | enantiomorphic | ||
dihexagonal-pyramidal | C6v | *66 | polar | ||
ditrigonal-dipyramidal | D3h | or | *322 | ||
dihexagonal-dipyramidal | D6h | *622 | centrosymmetric | ||
입방정계 | tetartoidal | T | 332 | enantiomorphic | |
diploidal | Th | 3*2 | centrosymmetric | ||
gyroidal | O | 432 | enantiomorphic | ||
tetrahedral | Td | *332 | |||
hexoctahedral | Oh | *432 | centrosymmetr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