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s, Audobooks and Classical Music from Liber Liber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Web - Amazon

We provide Linux to the World


We support WINRAR [What is this] - [Download .exe file(s) for Windows]

CLASSICISTRANIERI HOME PAGE - YOUTUBE CHANNEL
SITEMAP
Audiobooks by Valerio Di Stefano: Single Download - Complete Download [TAR] [WIM] [ZIP] [RAR] - Alphabetical Download  [TAR] [WIM] [ZIP] [RAR] - Download Instructions

Make a donation: IBAN: IT36M0708677020000000008016 - BIC/SWIFT:  ICRAITRRU60 - VALERIO DI STEFANO or
Privacy Policy Cookie Policy Terms and Conditions
국제 음성 기호 - 위키백과

국제 음성 기호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PA’ 문서는 여기로 넘어온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IPA (동음이의) 문서에 있다.
이 문서는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국제 음성 기호 (IPA)
(원래 이름: [aɪpʰɪːeɪ](IPA의 미국영어 발음 기준))
문자 종류 음소 문자
표기 언어 모든 언어(발음만 표시)
사용 시기 1888년~현재
계통 로마자
 포노타입 문자
  국제 음성 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
실제 크기로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IPA,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1]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한다.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2] 언어학자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다.[3] 2005년에 확장된 형태는 약 107개의 기본 문자와 55개의 구별기호로 구성되어 있다.[4]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자음으로 나눌 수 있다.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 표준화를 염두해 두고 만들어 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되기도 한다.

국제 음성 기호는 주로 언어 발화 행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상(혀의 위치나 조음 방법, 단어음절 분절 등)만을 표현할 수 있게끔 되어 있지만[2], 국제 음성 기호 확장형을 통해서 의미와는 무관한 발화 현상(이갈기, 혀짧은 소리 등)도 기록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3]

이러한 국제 음성 기호는 유니코드 문자 U+0250~02AD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목차

[편집] 변천 과정

이 부분의 본문은 국제 음성 기호의 변천 과정입니다.
국제 음성 기호를 정리한 도표
실제 크기로
국제 음성 기호를 정리한 도표

1886년프랑스의 언어학자 폴 파시가 중심으로 한 일련의 프랑스어영어 선생님들이 국제 음성 협회를 조직하면서 오늘날 국제 음성 기호라고 부르는 이 기호체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단체가 설립되고 나서 2년후 국제 음성 협회는 국제 음성 기호의 첫 공식판을 발간했는데, 이 첫 공식판은 헨리 스위트가 고안한 로믹 문자에 기반하여 만든 것이었다. [5][6] 참고로 이 로믹 문자 또한 아주 독창적인 것은 아니며 아이작 피트만과 알렉산더 존 엘리스등이 만든 포노타입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7] 이 첫 공식판은 국제 음성기호의 기본적인 자음모음 기호 체계를 잡았으며 이후로 자음과 모음 기호 체계는 대체적으로 이 첫 공식판과 같은 형태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개별 문자 자체에는 몇차례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1989년 킬 총회에서 몇가지 수정이 있었고(1932년 이전판 참고), 1993년에도 평순 중설 반개모음 [ɜ] 추가와 무성 내파음 기호 폐지와 같은 몇가지 사소한 수정이 있었다[8]. 비교적 최근인 2005년 5월에는 순치 탄음과 같은 기호가 추가되었다.[9]

이러한 개별 기호의 추가나 폐지와는 별개로 기호 명칭이나 분류 방법, 문자체 등은 변경도 있었다.[3]

국제 음성 기호의 확장형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것으로 1991년에 처음 만들어져서 1997년에 수정, 보완되었다. 또한 1995년에는 발성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기술하기 위해 VoQS (음성 성질 기호, Voice Quality Symbols)가 제안되었다.[10]

[편집] 특징

[편집] 쓰임

[편집] 문자

[편집] 닿소리


국제 음성 기호 닿소리표 (그림으로 보기)
조음 위치 입술(순음) 혀끝, 이빨(설음, 치음) 혓바닥(아음) 목구멍(후음)
조음 방법 양순 순치 설순 치조 치조후 치조
구개
권설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인두 후두개 성문
폐 기류  
비음    m    ɱ    *    *    n    ɳ    ɲ    ŋ    ɴ  
파열음 p b * * * * t d ʈ ɖ c ɟ k ɡ q ɢ Q   ʡ   ʔ  
마찰음 ɸ β f v θ̼ ð̼ θ ð s z ʃ ʒ ɕ ʑ ʂ ʐ ç ʝ x ɣ χ ʁ ħ ʕ ʜ ʢ h ɦ
접근음    β̞    ʋ    ɹ    ɻ    j    ɰ      
전동음    ʙ    *    *    r    *    ʀ    я  
탄음    ѵ̟    ѵ    *    ɾ    ɽ          *  
설측 마찰음 ɬ ɮ *    *    *       
설측 접근음    l    ɭ    ʎ    ʟ  
설측 탄음      ɺ    ɺ̢    *    *    
폐외 기류  
내파음 ƥ ɓ ƭ ɗ * * ƈ ʄ ƙ ɠ ʠ ʛ  
방출음     t̪ʼ     ʈʼ                  
방출마찰음 ɸʼ         θʼ         ʃʼ     ɕʼ     ʂʼ     çʼ         χʼ      
흡착음 ʘ     ǀ     ǃ     ǂ      
설측흡착음   ǁ      
  • 쌍으로 있는 기호의 경우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곳이다.
  • 별표로 남겨둔 곳은 그에 맞는 기호를 아직 찾지 못한 경우다.
  • † 순치 탄음은 공식적으로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는 비슷한 모양의 다른 문자를 사용하였다.

[편집] 홀소리

전설 근전설 중설 근후설 후설
고모음
 i • y 
 ɨ • ʉ 
 ɯ • u 
 ɪ • ʏ 
 ʊ 
 e • ø 
 ɘ • ɵ 
 ɤ • o 
 ə 
 ɛ • œ 
 ɜ • ɞ 
 ʌ • ɔ 
 æ 
 ɐ 
 a • ɶ 
 ɑ • ɒ 
근고모음
중고모음
중모음
근저모음
중저모음
저모음

쌍으로 있는 기호의 경우 왼쪽이 비원순 모음, 오른쪽이 원순 모음이다.

[편집] 이중조음

ʍ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w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ɥ 유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
ɧ 무성 치조후 연구개 마찰음 (ʃx을 동시에 조음)

필요하면 파찰음 몇 이중조음은 두 가지 기호를 연결선으로 연결해서 나타낼 수 있다. 또 대표적인 6개의 파찰음은 합자로 표시된다:

합자 연결선 이름
ʦ t​͡s 무성 치조 파찰음
ʧ t​͡ʃ 무성 치조후 파찰음
ʨ t​͡ɕ 무성 치조구개 파찰음
ʣ d​͡z 유성 치조 파찰음
ʤ d​͡ʒ 유성 치조후 파찰음
ʥ d​͡ʑ 유성 치조구개 파찰음
 – t​͡ɬ 무성 치조 설측 파찰음
 – k͡p kp를 이중조음
 – ɡ͡b gb를 이중조음
 – ŋ͡m ŋm를 이중조음
  • Arial Unicode MS 폰트 사용자의 경우, 폰트의 버그 때문에 다음의 잘못된 조합이 더 잘 보일 것이다. ts͡  tʃ͡  tɕ͡  dz͡  dʒ͡  dʑ͡  tɬ͡  kp͡  ɡb͡  ŋm͡.

[편집] 초분절자질

ˈ 제1 강세
ˌ 제2 강세
ː
ˑ 반장음
˘ 특별히 짧은
. 음절 경계
| 작은 그룹 (foot)
큰 그룹 (억양)
연결 (경계 없음)

[편집] 성조악센트

or ˥ 특별히 높은
é 또는 ˦ 높은
ē 또는 ˧ Mid
è 또는 ˨ 낮은
ȅ 또는 ˩ 특별히 낮은
ě 올라간다
ê 내려간다
e 다운스텝
e 업스텝
전체적인 상승
전체적인 하강

Note: Unicode does not support most IPA symbols for non-flat tones. To represent those, one possibility is to use numbers in the subscript, e.g. /e53/ for a high falling /e/. Another possibility is to use the "Box Drawings" in Unicode, e.g. /e┒/ for a high flat /e/.

[편집] 발음 구별 기호

하행문자가 있는 글자의 경우는 발음 구별 기호를 위에 적을 수 있다. 예: ŋ̊

n̥ d̥ 무성음 b̤ a̤ Breathy voiced t̪ d̪ 치음
s̬ t̬ 유성음 b̰ a̰ Creaky voiced t̺ d̺ Apical
tʰ dʰ 유기음 t̼ d̼ Linguolabial t̻ d̻ Laminal
ɔ̹ More rounded tʷ dʷ Labialized 비음
ɔ̜ Less rounded tʲ dʲ 구개음 dⁿ Nasal release
Advanced tˠ dˠ Velarized Lateral release
Retracted tˁ dˁ Pharyngealized No audible release
ë Centralized Velarized or pharyngealized
Mid-centralized Raised (ɹ̝ = voiced alveolar fricative)
ɹ̩ Syllabic Lowered (β̞ = voiced bilabial approximant)
Non-syllabic Advanced tongue root
ɚ Rhoticity Retracted Tongue Root

(Extended IPA for disordered speech.)

Labial spreading 경음 Denasal
Dentolabial 연음 Nasal escape
n̪͆    h̪͆ Interdental/bidental p\p\p Reiterated articulation Velopharyngeal friction
Alveolar Whistled articulation p↓ 흡기
Linguolabial s͢θ Sliding articulation !↑ 호기

[편집] 더 이상 쓰이지 않는 기호, 비공식 기호, 이체자 등

[편집] 기호가 할당되지 않은 소리

[편집] 같이 보기

위키미디어 공용에 이 글에 관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편집] 참고

[편집]

  1. Laver, Laver. Principles of Phone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1. ISBN 0-521-45031-4 (hb); ISBN 0-521-45655-X (pb) }}. “The acronym ‘IPA’ strictly refers…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But it is now such a common practice to use the acronym also to refer to the alphabet itself (from the phras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that resistance seems pedantic. Context usually serves to disambiguate the two usages.”
  2. 2.0 2.1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 guide to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SBN 0-521-65236-7 (hb); ISBN 0-521-63751-1 (pb) }}.
  3. 3.0 3.1 3.2 MacMahon, MacMahon. “Phonetic Notation”, P. T. Daniels and W. Bright (eds.): The World’s Writing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821–846. ISBN 0-19-507993-0 }}.
  4.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revised to 2005) (GIF) (2006-05-05). Retrieved on 2006-08-27.
  5. 틀:저널 인용
  6. Sweet, Sweet. Henderson, Eugénie J. A. (ed.): The indispensable foundation: A selection from the writings of Henry Sweet. Oxford University Press }}.
  7. Kelly, Kelly. “The 1847 alphabet: An episode of phonotypy”, R. E. Asher and E. J. A. Henderson (eds.): Towards a history of phonetics. ISBN 0-852-24374-X }}.
  8. Pullum, Pullum, William Allen Ladusaw. Phonetic Symbol Guid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2 & 209. ISBN 0226685357 }}.
  9. Approval of New IPA Sound: The Labiodental Flap.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September 2005). Retrieved on 2006-09-17.
  10. 틀:저널 인용

[편집] 바깥 고리

[편집] 특수 문자

Our "Network":

Project Gutenberg
https://gutenberg.classicistranieri.com

Encyclopaedia Britannica 1911
https://encyclopaediabritannica.classicistranieri.com

Librivox Audiobooks
https://librivox.classicistranieri.com

Linux Distributions
https://old.classicistranieri.com

Magnatune (MP3 Music)
https://magnatune.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June 2008)
https://wikipedia.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March 2008)
https://wikipedia2007.classicistranieri.com/mar2008/

Static Wikipedia (2007)
https://wikipedia2007.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2006)
https://wikipedia2006.classicistranieri.com

Liber Liber
https://liberliber.classicistranieri.com

ZIM Files for Kiwix
https://zim.classicistranieri.com


Other Websites:

Bach - Goldberg Variations
https://www.goldbergvariations.org

Lazarillo de Tormes
https://www.lazarillodetormes.org

Madame Bovary
https://www.madamebovary.org

Il Fu Mattia Pascal
https://www.mattiapascal.it

The Voice in the Desert
https://www.thevoiceinthedesert.org

Confessione d'un amore fascista
https://www.amorefascista.it

Malinverno
https://www.malinverno.org

Debito formativo
https://www.debitoformativo.it

Adina Spire
https://www.adinaspi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