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s, Audobooks and Classical Music from Liber Liber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Web - Amazon

We provide Linux to the World


We support WINRAR [What is this] - [Download .exe file(s) for Windows]

CLASSICISTRANIERI HOME PAGE - YOUTUBE CHANNEL
SITEMAP
Audiobooks by Valerio Di Stefano: Single Download - Complete Download [TAR] [WIM] [ZIP] [RAR] - Alphabetical Download  [TAR] [WIM] [ZIP] [RAR] - Download Instructions

Make a donation: IBAN: IT36M0708677020000000008016 - BIC/SWIFT:  ICRAITRRU60 - VALERIO DI STEFANO or
Privacy Policy Cookie Policy Terms and Conditions
간체자 - 위키백과

간체자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간체자(중국어 간체: 简体字, 정체: 簡體字, 병음: jiǎntǐzì) 또는 간화자(중국어 간체: 简化字, 정체: 簡化字, 병음: jiǎnhuàzì)는 196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간략화한 한자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한자 전체를 간략화한 것을 간체자 변이나 방을 간략화한 것을 간화자라고 한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원래의 전통적인 글자를 번체자라고 하고, 중화민국에서는 정체자라고 부른다.

1956년 「한자간화방안(漢字簡化方案)」이 발표된 후 몇년간의 연구를 거쳐, 1964년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가 발표되었다. 중국대륙싱가포르에서 사용되고있다.

초서의 형태를 참고하였는데, 그 내용은, 변과 방으로 사용되지 않는 간체자 350자(제1표), 변과 방으로 사용하는 간체자 132자와 변과 방 14개(제2표), 제2표를 참고한 간화자 1753자(제3표), 총2235자로 이루어져있다.

목차

[편집] 역사

한자의 간략화는 예전부터 속자로써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정자로써 쓰인 적은 없었다. 청나라 말기, 1909년, 육비규(陸費逵)가 '교육 한자' 창간호에 ‘일반 교육에 속자를 채용해야 한다(普通教育応當採用俗體字)’는 논문을 발표하여 간략화 운동이 시작되었다. 5·4 운동(五四運動)시대 1920년 전현동(銭玄同)은 신청년(新靑年)에 한자 획수를 줄이는 방안(減省漢字筆畫的提議)을 발표하고, 1922년 육비규와 함께 국어 통일 주비회(國語統一籌備會)에 상용 한자 전체의 획수를 줄일 것을 제안했다. 1934년에도 간략화된 한자를 제안하여, 1935년에는 2400자에 이르러 '간체자보(簡體字譜)'의 초안이 마련되었다. 한편으로는 국민정부의 교육부에서 324자의 '제일 차 간략 한자 표'(第一批簡體字表)를 발표했지만, 반대로 인해 실시되지는 않았다. 그 뒤로 간략자(簡略字)의 수집은 줄었으나, 1937년 '자체 연구회(字體研究會)'가 1700자의 '간체자 표 제일 표(簡體字表第一表)'를 발표했다.

1955년, 중국 문자 개혁 위원회(中國文字改革委員會)가 '한자 간화 방안 초안'(漢字簡化方案草案)을 발표하고, 1956년 1월 '한자 간화 방안'(漢字簡化方案)이 정식으로 발표되어, 514자의 간체자와 54개의 간화된 변과 방이 채용되었다. 그 뒤, 간화자는 1959년까지 네 번 발표되어, 1964년 '간화자 총표'(簡化字総表)로 정리되었다.

1977년, 중국 문자 개혁 위원회가 새롭게 '제이 차 간화 방안 초안'(第二次簡化方案草案)을 발표하여, 한자의 새로운 간략화를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문자 대혁명(文化大革命)의 직후에 만들어져서 너무 졸속한 방안이었고, 자체가 너무 간략화되어 '읽기 어렵다', '보기 나쁘다'는 비판을 들으며 8년 간의 시험 후 폐기되었다. 이 간체자는 이간자(二簡字)라고도 불린다. 그 이후 새로운 문자 개혁은 하지 않고, 간체자 안정기에 들어 갔다.

현재 중국 대륙과 싱가포르의 대부분의 출판물은 간체자를 사용하고 있고, 학교 교육도 간체자를 교육하여 번체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한편, 대만, 홍콩과 북미의 화교 사회 등에서는 중국과 정치적 대립을 배경으로 인해 번체자를 고수하고 있어, 간체자를 제대로 읽을 수 없는 사람이 많다. 그러므로 인해 같은 내용의 책이라도 중국 대륙에서는 '간체자판', 그 밖의 곳에서는 '번체자판' 2종류로 출판되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손으로 필기하는 경우도, 간체자와 번체자를 혼용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편집] 간략화 원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자를 간략화하였다.

자형의 일부만 남긴다
예: 虫(蟲)、广(廣)、)、(滅)、(務)、
자형의 일부를 변화시킨다
예: (婦)、(麗)、(習)、(顯)
변과 방을 다른글자로 대체한다
예: )、(鐘)
번체자의 특징적인 부분과 윤곽만 남긴다
예: (飛)、广(廣)、齿(齒)、(廠)
초서체를 예서화한다
예: (書)、(長)、(樂)、(車)
변과 방을 간략화한다
예: (鄧)、(觀)、(對)
같은음의 다른글자로 대체한다
예: 谷(穀)、丑(醜)、后(後)、机(機)、干(乾、幹)
회의문자를 새로 만든다
예: (塵)
획순이 적은 고체자를 사용한다
예: 从(從)、云(雲)、泪(涙)、网(網)
한자의 음을 의미하는 부분을 다른글자로 대체한다
예: (斃)、(護)、(驚)、(膚)

[편집] 이체자 정리

1955년 중국한자개혁위원회는 「간화방안」에 앞서, 「제1차이체자정리표」를 발표하여, 1865자의 글자를 810자로 정리하였다. 예를 들어 「并・並・併・竝」을「并」로, 「屍・尸」을「尸」등이 있다.

[편집] 간체자 대조표

간체자 번체자 간체자 번체자
齿
  • 간체자

Core Simplified Characters


[편집] 같이 읽기

Our "Network":

Project Gutenberg
https://gutenberg.classicistranieri.com

Encyclopaedia Britannica 1911
https://encyclopaediabritannica.classicistranieri.com

Librivox Audiobooks
https://librivox.classicistranieri.com

Linux Distributions
https://old.classicistranieri.com

Magnatune (MP3 Music)
https://magnatune.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June 2008)
https://wikipedia.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March 2008)
https://wikipedia2007.classicistranieri.com/mar2008/

Static Wikipedia (2007)
https://wikipedia2007.classicistranieri.com

Static Wikipedia (2006)
https://wikipedia2006.classicistranieri.com

Liber Liber
https://liberliber.classicistranieri.com

ZIM Files for Kiwix
https://zim.classicistranieri.com


Other Websites:

Bach - Goldberg Variations
https://www.goldbergvariations.org

Lazarillo de Tormes
https://www.lazarillodetormes.org

Madame Bovary
https://www.madamebovary.org

Il Fu Mattia Pascal
https://www.mattiapascal.it

The Voice in the Desert
https://www.thevoiceinthedesert.org

Confessione d'un amore fascista
https://www.amorefascista.it

Malinverno
https://www.malinverno.org

Debito formativo
https://www.debitoformativo.it

Adina Spire
https://www.adinaspire.com